본문 바로가기
글쓰기/맞춤법

[메다 매다] 목도리, 가방, 안전벨트, 총대까지 총 정리했어요!

by S.W 와이 2025. 2. 20.
반응형

 

 

 

 

 

메다 매다
목도리를 00

   목도리 메다?매다?🤔

‘목도리를 메다’와 ‘목도리를 매다’, 어떤 표현이 맞을까요? 비슷하게 들려서 헷갈리지만, 이 둘은 분명히 다른 뜻을 가지고 있어요. 우리가 일상에서 자주 쓰는 표현인 가방 메다 매다, 총대 메다 매다, 안전벨트 매다 같은 문장에서도 헷갈리기 쉽죠.

 

 

 

오늘은 메다와 매다의 차이를 확실히 알려드릴게요. 마지막에 퀴즈도 덧붙였으니 오늘로 '메다'와 '매다' 확실히 정리할 수 있을 거예요!

 

 

 


 

 

 

우선, 메다와 매다의 차이부터 알아볼게요. 

메다 매다 차이
뜻의 차이

✔️ ‘메다’는 어깨에 걸치는 것!

‘메다’는 주로 어깨에 걸치거나 지는 동작을 의미해요. 가방이나 배낭처럼 어깨에 얹는 물건에 사용하죠. 

  • 가방을 메다
  • 총대를 메다
  • 배낭을 메다

 

✔️ ‘매다’는 묶거나 연결하는 것!

‘매다’는 끈이나 줄로 묶는 행위를 뜻해요. 스카프나 목도리처럼 묶어서 고정하는 상황에서 사용해요. 

  • 목도리를 매다
  • 넥타이를 매다
  • 안전벨트를 매다

 

그렇다면 ‘목도리 메다’와 ‘목도리 매다’ 중 무엇이 맞을까요?

정답은 바로 ‘목도리를 매다’입니다. 목도리는 어깨에 걸치는 것이 아니라, 둘러서 ‘묶는’ 것이기 때문이에요. 반면, ‘가방 메다 매다’, ‘총대 메다 매다’는 어깨에 걸치는 동작이므로 ‘메다’가 맞죠. 😊

목도리를 매다
목도리를 매다!


   예문으로 익히기

헷갈리지 않으려면 예문을 많이 접해보는 게 최고예요! ‘메다’와 ‘매다’를 다양한 예문으로 비교해 볼게요.

 

🧳 ‘메다’ 예문: 어깨에 걸치는 동작

  • 무거운 가방을 메다 보니 어깨가 아팠어요.
  • 동료들을 위해 총대를 메다며 책임을 졌죠.
  • 친구는 캠핑 가방을 두툼하게 메고 왔어요.

 

🧣 ‘매다’ 예문: 끈이나 줄로 묶는 동작

  • 추운 겨울엔 따뜻한 목도리를 매는 게 필수죠.
  • 택시는 출발하기 전에 반드시 안전벨트를 매야 해요.
  • 면접에 가려고 단정하게 넥타이를 맸어요.

 

이렇게 예문으로 접하면 가방 메다 매다, 총대 메다 매다, 안전벨트 매다 등에서 헷갈림 없이 구분할 수 있어요. 😎

 

 

 

 


   기억하기 쉬운 꿀팁! 

'매다’는 ‘매듭’과 관련이 있다는 점을 기억해 보세요. ‘매다’는 무엇인가를 묶는 행위이기 때문에 ‘매듭’이라는 단어와 연결해 떠올리면 쉽게 구분할 수 있어요.

 

 

✨ 메다 vs 매다 기억법

✔️ ‘매다’는 매듭과 관련: 넥타이, 목도리, 안전벨트처럼 ‘묶는 것’
✔️ ‘메다’는 어깨에 걸치는 것: 가방, 총대처럼 ‘걸치는 것’

 

 

예를 들어, ‘안전벨트 매다’는 벨트를 몸에 묶어서 고정하는 것이니까 ‘매다’가 맞고, ‘가방 메다’는 어깨에 걸쳐 메는 것이니까 ‘메다’가 맞아요. 이렇게 생각하면 ‘메다 매다’ 구분이 훨씬 쉽죠? 😁

 

 

목도리 매다가 맞음
헷갈리지 말자구요!

 


   이 문제를 풀 수 있다면 당신은 천재일지도? 

마지막으로, 배운 내용을 복습해 볼까요? 다음 문장에서 ‘메다’와 ‘매다’를 알맞게 골라보세요!

 

 

Q. 다음 중 바르게 쓴 문장은 무엇일까요?

  1. 추운 날씨에 목도리를 (메다/매다).
  2. 출근길에 가방을 (메다/매다).
  3. 택시에 타자마자 안전벨트를 (메다/매다).
  4. 책임을 지겠다고 총대를 (메다/매다).

 

 

 

☺️ 정답은 아래 영역을 드래그하면 확인 가능합니다

 

 

  1. 목도리를 매다 (목에 ‘매듭’처럼 묶으니까!)
  2. 가방을 메다 (어깨에 걸치니까!)
  3. 안전벨트를 매다 (몸에 묶는 것이니까!)
  4. 총대를 메다 (어깨에 짊어지니까!)

 

 

 

 

오늘은 ‘메다 매다’, ‘목도리 메다 매다’, ‘가방 메다 매다’, ‘총대 메다 매다’, ‘안전벨트 매다’처럼 헷갈리기 쉬운 표현들을 구분해 봤어요.

 

✔️ ‘메다’는 어깨에 걸치는 동작
✔️ ‘매다’는 끈으로 묶는 동작

 

 

 

이제 ‘메다 매다’ 구분은 문제없겠죠? 😄

이 포스팅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이것도 애매하던데? 🤔

[휘둥그레지다 휘둥그래지다] 잘생긴 사람을 볼 때 보통 눈이 이렇게 되죠

 

[휘둥그레지다 휘둥그래지다] 잘생긴 사람을 볼 때 보통 눈이 이렇게 되죠

수려한 외모를 지닌 사람을 볼 때수려한 외모의 사람을 처음 보았을 때 눈이 커지면서 놀랐던 경험. 다들 있으시죠? (저는 요즘 배우 이준혁 님을 보고 그렇습니다😮) 이런 순간을 표현할 때 눈

cream-bread.tistory.com

[앎 암 / 듦 듬] 음슴체 뜻 정리하면 앎과 암, 듦과 듬 구분하기 쉬워요!

 

[앎 암 / 듦 듬] 음슴체 뜻 정리하면 앎과 암, 듦과 듬 구분하기 쉬워요!

음슴체 뜻 정리인터넷을 하다보면 '~했음', '그랬음' 같은 표현을 본 적이 있을 거예요. 이런 식의 문체를 음슴체라고 부릅니다.  이렇게 맞춤법을 주기적으로 공부하는 건 국어 문법을 이해하

cream-bread.tistory.com

 

 

 

 

 

 

 

 

 

 

 

728x90
반응형
LIST

댓글